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TFT 시즌 15 고밸류 바루스 공략 완벽 가이드 — Fast 9 운영, 아이템, 덱 구성, 배치까지

by 동동e3 2025. 9. 4.
반응형

TFT 시즌 15 고밸류 바루스 공략 완벽 가이드 — Fast 9 운영, 아이템, 덱 구성, 배치까지

이 글은 시즌 15(K.O. Coliseum)에서 바루스(5코, 악령/Wraith · 저격수/Sniper)를 중심에 둔 이른바 ‘고밸류(High-Value) 바루스’ 운용을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고밸류의 핵심은 8~9레벨에서 4·5코 고비용 유닛들로 전력을 ‘완성’하는 데 있고, 바루스는 마나 기반 연사 스킬장거리 딜 증폭 시너지 덕분에 최상위 구간에서도 확실한 캐리 축이 됩니다. 아래에서는 정확한 수치와 최근 메타 지표를 바탕으로 아이템, 조합, 레벨링, 배치, 파워업, 증강 선택까지 바로 따라 하실 수 있도록 안내드립니다.

바루스가 고밸류의 축이 되는 이유

역할과 시너지부터 짚겠습니다. 바루스는 5코스트 원거리 딜러로, 악령(Wraith)저격수(Sniper) 특성을 가집니다. 악령은 5초마다 ‘그림자 영역’이 누적 피해량의 일부를 추가로 터뜨리고 최저 체력 악령을 치유해 전투가 길수록 팀 전체 화력을 끌어올립니다. 저격수는 거리 기반 피해 증폭으로 후열 각에서 극대화되는 특성이며, 단계가 오를수록 증폭치가 가파르게 증가합니다. 이런 구조는 단일 캐리를 ‘아이템 3개+시너지’로 고점화하는 고밸류 운영과 자연스럽게 맞물립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

챔피언·스킬·시너지 핵심 요약

바루스(시즌 15) 핵심 스펙 & 시너지
항목 값/효과 해석
코스트 / 특성 5코 / 악령(Wraith) · 저격수(Sniper) 후반 완성형 캐리. 고밸류 보드의 중심축
마나 / 사거리 10 / 85, 사거리 4 첫 시전 빨리 찍고 난 뒤 마나 순환을 돌리기 좋음
스킬 0레벨: 100발의 악마 — 유닛이 죽을 때 마나 획득(적 5, 아군 3). 마나가 떨어질 때까지 초당 3(+공속 계수)발 관통 화살을 무작위 적에게 발사, 화살당 마나 12/12/6 소모, 물리 피해 85/130/666, 적중마다 피해 35% 감소. 마나 아이템·치명/관통과 상성이 뛰어난 연사형 딜
저격수(Sniper) 2: +13% 피해(+3%/헥스) · 3: +16%(+5%) · 4: +22%(+7%) · 5: +25%(+10%) 모서리·후열 각일수록 기대값이 커짐
악령(Wraith) 2/4/6: 누적 피해의 20/40/60%로 ‘그림자 영역’ 피해 + 최저 체력 악령 치유 장기전 화력·유지력 동시 상승

위 수치는 챔피언 데이터베이스 및 메타 사이트 기준 최신 패치(작성 시점 한국시간 2025-09-04) 정보를 요약한 것입니다. 상세 스킬 텍스트와 단계별 시너지 수치를 교차 확인했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

성적 지표 — 데이터로 보는 현재 경쟁력

글로벌 집계에서 바루스는 평균 순위 3.8대, TOP4 약 62%, 우승률 약 20%상위권 안착이 안정적인 전형으로 집계됩니다(게임 표본 수 수십만 기준, 시간·지역 필터에 따라 변동). 아이템 조합레벨링 타이밍이 맞을 때 1등 구간 진입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

BIS와 아이템 조합 — 쇼진 + 치명 + 관통이 기본선

바루스는 마나 소모형 연사쇼진의 창으로 시전 주기를 앞당기고, 무한의 대검(치명)최후의 속삭임(관통)으로 관통·치명 기대값을 키우는 ‘쇼진+IE+LW’ 3신기가 정석입니다. 일부 로비에서는 타격대의 철퇴(Striker’s Flail)를 섞어 방어막·치유가 많은 상대를 두들기는 선택도 높은 채용률을 보입니다. 추천·대체 조합은 아래와 같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3]{index=3}

바루스 아이템 조합 성적(글로벌 예시, 최근 15.3 기준)
아이템 3종 평균 순위 TOP4 1등률 메모
무한의 대검 + 최후의 속삭임 + 쇼진 3.56 65.4% 28.12% 정석 3신기
데스블레이드 + 무한의 대검 + 쇼진 3.52 66.24% 27.90% 순수 AD 고점
무한의 대검 + 타격대의 철퇴 + 쇼진 3.77 61.76% 25.75% 방어막·탱 메타 대응
블루 버프 + 무한의 대검 + 타격대의 철퇴 3.64 62.96% 30.34% 블루로 초반 첫 시전을 당기는 변형

위 수치는 OP.GG의 조합별 평균 순위·TOP4·우승률 랭킹을 발췌해 요약한 것으로, 표본·지역·버전에 따라 수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4]{index=4}

덱 구성 — Fast 9 고밸류 바루스 vs Sniper 완성형

① Fast 9 고밸류 바루스는 말 그대로 9레벨로 빠르게 올라가 5코/전설 유닛 밀도로 보드를 덮는 컨셉입니다. 바루스(메인 딜) + 크산테(솔탱) + 자이라/트페(듀오 캐리) + 브라움/잔나/스웨인/자르반 같은 고밸류 조합으로 마무리합니다. 바루스에게는 쇼진·치명·관통, 크산테에게는 가고일·워모그류가 안정적입니다. 운영 도중 8레벨에서 잠시 안정화한 뒤 9에 올려 5코 밀도로 파워를 완성하는 루트가 표준입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5]{index=5}

② Sniper 완성형저격수 4~5단단한 바스천(결의) 전열을 맞춰 8레벨에서 곧장 완성하는 루트입니다. 캐리는 바루스·징크스 듀오, 전열은 레오나·브라움·가렌 등으로 구성합니다. 빠른 8로 압박하면서 아이템 각이 좋으면 9로 확장하는 ‘Fast 8→확장’ 스타일입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6]{index=6}

핵심 보드 예시(코어 유닛과 시너지)
아키타입 코어 유닛 핵심 시너지 주 아이템
Fast 9 고밸류 바루스 · 크산테 · 자이라 · 브라움 · 트페 · 자르반 · 잔나 악령 2~4, 저격수 2, 전략가/프로텍터·바스천 보조 바루스(쇼진·IE·LW), 크산테(가고일·워모그)
Sniper 완성형 바루스 · 징크스 · 레오나 · 브라움 · 케이틀린 · 징크스 · 진/나르 저격수 4~5 + 바스천 3~4 바루스(IE·LW·쇼진), 전열(가고일·워모그·태양불)

두 루트 모두 바루스의 BIS(쇼진·IE·LW) 우선, 탱커에 ‘가고일·워모그’를 얹는 큰 틀은 동일하며, 차이는 완성 타이밍유닛 밀도에 있습니다. 관련 메타 컴프 페이지의 세부 레벨링·아이템 권장을 반영했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7]{index=7}

레벨링·경제 — Fast 9 로드맵

Fast 9 바루스 레벨·골드 타임라인(예시)
스테이지 권장 레벨 골드 목표 핵심 액션
2-1 4 10+ 업그레이드가 잘 붙었으면 연승 설계, 아니면 체력 손실 최소화
2-5 5 20+ 강한 보드 유지, 자이라/잔나/스웨인 파츠 보관
3-2 6 30~40 연승·연패 중 한쪽을 명확히 유지해 추가 경제 확보
4-1 7 50+ 핵심 파츠 보강(전열+저격수 2~3) 상태로 체력 방어
4-2 8 30+ 잠깐 안정화(바루스 1성+전열 보강) → 9 준비
5-2 9 20+ 바루스·크산테·자이라 2성 노리며 고밸류 완성

위 로드맵은 Fast 9 전용 컴프 가이드들의 레벨 타이밍을 취합한 것입니다. 8에서 ‘짧게 멈춰 안정화’ 후 9로 올리는 흐름이 대표적입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8]{index=8}

파워업·증강 선택 — 바루스/크산테 중심

파워업은 바루스에게 Doom Barrage, Demolitionist, Shadow Clone류(연사·폭발·복제 기반), 크산테에게 Unstoppable, Resistant, Body Change 같은 생존·진입 강화형이 체감이 큽니다. 증강경제형(레벨업/헤지펀드/업워드 모빌리티)아이템형(슬래민!)이 Fast 9과 궁합이 좋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9]{index=9}

추천 파워업 & 증강(상황별)
분류 우선 picks 효과/이유
바루스 파워업 Doom Barrage, Demolitionist, Shadow Clone 연사 스킬과 합쳐 폭발·광역 압박 극대화
크산테 파워업 Unstoppable, Resistant, Body Change 솔탱 내구·진입 안정화, 후열 보호 시간 확보
증강(경제) Level Up!, Upward Mobility, Hedge Fund Fast 9 도달 속도·자원량을 직접 끌어올림
증강(전투/아이템) Slammin!, Buried Treasures 초중반 체력 관리 + 핵심 재료 조기 확보

배치(포지셔닝) — 저격수의 각을 최대로

저격수는 멀수록 딜이 세집니다. 바루스는 후열 모서리에 두고, 전열 탱커(크산테·브라움)를 같은 측면 1~2칸 앞에 세워 적의 접근 경로를 유도하세요. 암살/점멸이 많은 로비라면 후열 2~3기 겹배치로 첫 점프 각을 꺾고, 필요 시 바루스 한 칸 안쪽에 미끼 유닛을 두어 타겟을 분산시키면 안정감이 올라갑니다. 저격수 단계(4~5)를 유지한 채 거리 보너스를 최대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10]{index=10}

카운터·매치업 대응

  • 고방템/보호막 많은 전열타격대의 철퇴 또는 수은·구인수로 중장기전 설계. 바루스의 연사 구조상 딜 누적을 허용하면 결국 뚫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11]{index=11}
  • 암살·백점프 → 후열 겹배치+미끼, 가고일·워모그로 탱을 두껍게. 바루스는 모서리 고정, 크산테로 첫 물결을 받아내세요. :contentReference[oaicite:12]{index=12}
  • 장거리 저격 미러 → 바루스를 상대 캐리의 반대 모서리에 두고, 전열 각을 살짝 틀어 사선 우위를 가져가면 교전 시작 각이 유리합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13]{index=13}

실전 체크리스트 — 실제 판에서 바로 쓰는 메모

  • 아이템 우선순위: 쇼진 → 치명(IE/데블) → 관통(LW) → 상황형(타격대의 철퇴/구인수). :contentReference[oaicite:14]{index=14}
  • 레벨링: 4@2-1, 5@2-5, 6@3-2, 7@4-1, 8@4-2(잠시 안정), 9@5-2(완성). :contentReference[oaicite:15]{index=15}
  • 시너지: 저격수 4~5 유지, 악령 2~4 보조. 거리 보너스가 핵심. :contentReference[oaicite:16]{index=16}
  • 파워업/증강: 바루스·크산테 중심, Fast 9에 유리한 경제형 선호. :contentReference[oaicite:17]{index=17}
  • 배치: 바루스 후열 모서리 고정, 전열은 같은 측면 쏠림 배치로 사선 확보. :contentReference[oaicite:18]{index=18}

자주 받는 질문(FAQ)

Q. 블루 버프 vs 쇼진, 무엇이 더 좋나요?
둘 다 성적이 나옵니다. 쇼진은 전투 전반의 안정적 순환에, 블루첫 시전 가속으로 초반 교전 주도권을 주는 편입니다. 아이템 풀·로비 속도에 따라 선택하세요. (조합 성적 표 참조) :contentReference[oaicite:19]{index=19}

Q. Fast 9이 너무 어렵습니다. 대안이 있을까요?
Sniper 완성형으로 8레벨에 먼저 완성하고, 아이템·체력이 받쳐주면 9로 확장하는 루트가 무난합니다. 바루스·징크스 듀오 캐리 + 바스천 전열을 추천합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20]{index=20}

Q. 악령을 6까지 올려야 하나요?
꼭 그렇진 않습니다. 2~4 악령만으로도 그림자 영역의 추가 피해와 치유 이득을 충분히 얻을 수 있고, 남는 슬롯은 저격수 단계·전열 보강·유틸(잔나/자르반)에 쓰는 편이 전체 승률에 유리합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21]{index=21}

의견

고밸류 바루스의 매력은 ‘타이밍을 내가 만든다’는 감각에 있습니다. 초반에 아이템과 체력을 억지로 끼워 맞추지 않고, 8에서 숨을 고른 뒤 9에서 폭발시키는 과정이 주는 손맛이 분명합니다. 물론 9까지 가는 길이 항상 열려 있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더 중요해지는 게 사선(각)첫 시전 타이밍입니다. 그 둘만 놓치지 않으면, 바루스는 생각보다 쉽게 여러분 편이 되어 줍니다. 저는 이 덱을 “감으로 굴리지 않고, 수치로 설득하는” 선택지로 보고 있습니다.

반응형